전체 글27 세포생물학(20)-세포와 세포소기관7 이번 장에서는 세포 안의 세포골격에 대해 알아보겠다. 세포골격에는 크게 세포의 뼈대 역할을 수행하며, 세포를 가로질러서 원거리 물질 수송에 참여하는 미세소관, 세포를 지지해주며 세포 소기관들을 고정하는 중간 섬유, 세포막 근처의 구조를 형성하며 막 근처의 물질 수송에 참여하는 미세섬유가 있다. 미세소관의 특징과 그 예들을 천천히 살펴보겠다. 미세소관의 기본 단위체는 자유 튜불린인 알파 튜불린과 베타 튜불린이 이량체를 이룬 구조이다. 속이 빈 원통 모양으로 미세소관 중합체를 형성한다. (+) 말단과 (-) 말단이 있으며, (+) 말단에는 베타 튜불린이 노출되어있고, (-) 말단에는 알파 튜불린이 노출되어 있다. 중합체 형성 원리를 살펴보자. 시험관에서 실험을 할 때, 시험관 내에 자유 튜불린 농도가 높아야.. 2020. 4. 13. 세포생물학(19)-세포와 세포소기관6 이번 시간에는 미토콘드리아부터 시작하겠다. 미토콘드리아와 엽록체는 둘 다 원핵세포에서 유래했다는 내부 공생 가설이 정립되어있다. 미토콘드리아는 진핵세포가 산소를 이용하는 호기성 세균을 삼켜서 소기관이 되었다는 설이 있고, 엽록체는 추가적으로 광합성을 하는 남세균 같은 세균을 삼켜 색소체가 소기관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둘 다 이분법으로 증식하는 특징이 있어 더 그렇게 보인다. 미토콘드리아의 구조와 기능을 살펴보자. 미토콘드리아는 이중막으로 되어있는데 외막의 경우엔 삼킨 막에서 유래한다. 작은 분자들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는 포린 단백질이 있다. 내막은 원핵세포의 세포막에서 유래한 것이고, 전자 전달계에 참여하는 효소들이 박혀 있다. 또, 표면적을 넓히도록 구불구불하게 접힌 크리스타 구조를 이뤄 에너지 .. 2020. 4. 13. 세포생물학(18)-세포와 세포소기관5 이번에는 액포부터 살펴보자. 액포는 식물세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소기관이다. 리소좀이 없는 대신에 가수분해 기능을 수행하며 액포 막의 수소이온 펌프가 내부를 산성 pH로 유지해준다. 주로 양분, 색소, 노폐물, 독성 물질 등을 저장한다. 세포가 성숙할수록 점점 커져서 오래된 세포에 특히 발달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액포는 식물 세포 내에 여러 개가 존재하는데, 그중 제일 큰 것을 중심 액포라 한다. 내부에 많은 용질들이 들어 있어 액포가 삼투 현상에 의해 팽창한다면 세포벽에 큰 팽압을 가하게 된다. 원생생물 중 유글레나류는 특이하게도 액포 대신 액포와 유사한 기관인 수축포를 가지고 있다. 수축포는 세포 내로 들어오는 과량의 물을 저장하면서 팽창했다가 과하게 팽창한다면 세포가 터지지 않도록 수.. 2020. 4. 11. 세포생물학(17)-세포와 세포소기관4 활면 소포체에 대해 알아보자. 표면에 리보솜이 붙어 있지 않은 막성 구조물이며 종종 막이 조면 소포체와 연결되어 있다. 활면 소포체의 역할은 매우 다양하나 가장 중요한 것들만 뽑아 보겠다. 일단 인지질과 콜레스테롤 등의 지질을 합성한다. 활면 소포체 막에 박혀 있는 효소들을 이용해 인지질을 합성하고, 콜레스테롤 합성 과정의 중요 효소인 HMG-CoA 리덕테이스가 활면 소포체 막에 박혀 있어, 후기 콜레스테롤 합성 과정들이 활면 소포체 내부에서 일어난다. 또한, 독성을 해독해주는 역할도 한다. 활면 소포체 내에 시토크롬 P-450과 같은 단백질들이 많아 약물과 유해한 물질들을 분해한다. 분해하는 메커니즘은 불용성 물질을 NADPH와 산소를 이용해 수용성으로 만들어 쉽게 분해되게 만든다. 활면 소포체는 칼슘.. 2020. 4. 7. 이전 1 2 3 4 5 ··· 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