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은 탄수화물, 단백질과 함께 3대 영양소 중 하나이며 물에 안 녹는 유기분자이다. 인체 내부에서 이용할 수 있는 에너지원인 동시에 여분의 에너지를 축적하는 역할도 수행 가능하다. 지방의 종류도 다른 탄수화물과 같이 여러 개가 있는데 생체 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들만 선별해서 살펴보자. 그 예로 중성지방, 막지질, 스테롤 등이 있다. 중성지방은 글리세롤 한 분자에 지방산 세 개가 서로 에스테르 결합으로 연결된 구조이다. 당의 글리코시드 결합처럼 지방도 탈수 축합의 과정을 거치는 결합이며, 합성하는데 조효소로 판토텐산이 사용된다. 이런 지방산은 주로 동물의 백색 지방세포에 비축해뒀다가 나중에 분해해서 에너지원으로 사용한다. 내장기관을 보호하거나, 피하 지방층에 분포해 절연체 기능의 역할을 수행한다. 지방산에도 종류가 여러 개 있는데, 포화 지방산, cis- 불포화 지방산, trans- 불포화 지방산이 그 예이다. 포화 지방산은 탄소 골격에 이중결합이 없는 지방산이고, 동물성 지방이다. cis- 불포화 지방산은 탄소 골격에 cis-형 이중 결합이 있는 지방산이며, 인체 안에서도 에너지원 외에도 아이코사노이드 계열 호르몬으로 합성되어 사용될 수 있다. cis- 불포화 지방산에는 오메가 6 계열의 지방산과 오메가 3 계열의 지방산이 있다. trans- 불포화 지방산은 cis- 불포화 지방산을 수소화 공정을 거쳐 만든 것이며 cis- 불포화 지방산의 단점인 낮은 끓는점을 보완해서 만든 유기분자이다. 혈관에 쌓여서 다양한 질환들을 유발한다고 밝혀졌다. 지방산은 골격을 이루는 탄소의 개수에 따라 종류를 여러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중성지방의 특징이 이렇다면, 막지질은 생체막의 구성 성분이다. 일반적으로 한쪽 끝은 소수성을 띠고 반대쪽 끝은 친수성을 띤다. 막지질의 종류로는 인산 지질, 당지질, 에테르 지질이 있다. 인산 지질은 글리세롤 한 분자에 지방산 두 개 그리고 인산기 한 개가 붙어있는 구조이다. 인산기에 덧붙어 있는 분자의 종류에 따라 여러 종류로 나뉜다. 또한, 보통의 글리세롤은 첫 번째 탄소에 16개 탄소 혹은 18개 탄소를 골격으로 한 포화지방산이 결합되어 있고, 두 번째 탄소에 18개 혹은 20개 탄소를 골격으로 한 불포화 지방산을 갖는 게 특징이다. 당지질은 식물이 갖고 있는 막지질의 종류로서 상대적으로 토양의 양분 속에 인의 성분이 부족하니 갖는 구조적 특성이다. 식물 엽록체 틸라코이드 내막의 7할에서 8할을 차지한다. 에테르 지질은 고세균이 극한의 환경에서 살아남기 위해 가진 잘 가수분해 되지 않는 에테르 결합의 막지질이다. 고세균은 이 에테르 지질을 단일층으로 갖고 있거나 이중층으로 갖고 있는다.
'교양 > 일반생물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포생물학(6)-단백질2 (0) | 2020.04.05 |
---|---|
세포생물학(5)-단백질1 (0) | 2020.04.05 |
세포생물학(4)-지방2 (0) | 2020.04.05 |
세포생물학(2)-탄수화물2 (0) | 2020.04.05 |
세포생물학(1)-탄수화물1 (0) | 2020.04.05 |
댓글